디딤씨앗통장부터 희망두배 청년통장까지, 서울시 지원통장 A to Z
서울시에서는 아이부터 청년, 학부모, 장애청년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 주기에 맞춘 자산 형성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습니다. 경제적 자립 기반을 마련하기 어려운 시민들이 서울시 지원통장을 통해 자산을 축적하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통장을 운영 중입니다.
이러한 통장들은 단순한 저축을 넘어서, 서울시나 국가 예산으로 매칭 적립이 제공되는 형태이기 때문에,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으로도 큰 목돈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주목할 만합니다.
지금부터 서울시가 제공하는 대표적인 4가지 자산 형성 통장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.
✔ 디딤씨앗통장 – 아동의 미래를 위한 첫걸음
디딤씨앗통장은 보호대상 아동, 기초생활수급 아동, 차상위계층 아동을 위한 자산 형성 지원 통장입니다.
이 통장의 가장 큰 특징은 저축액의 2배를 서울시가 매칭하여 적립해준다는 점입니다. 예를 들어 월 5만 원을 저축하면 서울시가 10만 원을 추가로 적립해 총 15만 원이 매월 쌓이게 됩니다.
이렇게 모인 금액은 만 18세 이후에는 학자금, 주거비, 취업 준비비 등 자립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, 만 24세 이후에는 사용 목적에 제한 없이 활용 가능합니다.
디딤씨앗통장 신청은 수시로 가능하며, ‘복지로’ 누리집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.
디딤씨앗통장 가입 방법부터 조건까지 한눈에! (2025 최신 기준)
서울시가 2025년부터 디딤씨앗통장 가입 대상을 대폭 확대하면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 기존에는 아동양육시설이나 위탁가정 등에서 보호받는 아이들만 가입할 수 있었던 이 제도
wisdom.paiksworld.com
✔ 희망두배 청년통장 – 청년의 미래를 두 배로 키우다
희망두배 청년통장은 일하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위해 마련된 서울시 대표 지원 사업입니다. 근로 중인 청년이 매월 15만 원을 2~3년 동안 저축하면, 서울시가 동일한 금액을 매칭하여 총 30만 원이 적립됩니다. 이 통장은 특히 청년층의 주거 마련, 학자금 상환, 결혼 자금 준비 등 장기적인 계획에 도움이 되는 자산을 효율적으로 축적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.
대상은 만 18세 이상 34세 이하의 서울 거주 청년으로, 최근 1년간 3개월 이상 근로 이력이 있어야 하며, 세전 소득이 월 255만 원 이하일 경우 신청이 가능합니다.
신청 일정은 ‘서울시 자산형성지원사업’ 누리집을 통해 공지되므로 자주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.
✔ 꿈나래통장 –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을 덜다
자녀의 교육비가 걱정인 학부모를 위한 통장이 바로 꿈나래통장입니다. 이 통장은 생계·의료급여 수급자 또는 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인 경우에도 신청이 가능하며, 월 5만 원~12만 원을 저축하면 서울시와 시민 후원금이 함께 적립해주는 방식입니다.
생계·의료급여 수급자의 경우 저축한 금액과 동일한 금액을, 비수급자의 경우에는 저축액의 50%를 매칭 적립받을 수 있습니다.
적립 기간은 3년 또는 5년이며, 매년 1회 이상 금융 교육을 이수해야 최종 수령이 가능합니다.
학부모 입장에서는 교육비 마련과 자산 형성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한 제도입니다.
✔ 이룸통장 – 중증장애 청년의 자립 지원
이룸통장은 중증장애 청년의 자립 기반 마련을 돕는 특화 통장입니다. 장애로 인해 소득 활동이 어려운 청년들이 성인이 된 이후 자립할 수 있도록 서울시가 매달 15만 원을 적립해주는 제도입니다.
참여자는 3년간 매월 10만 원 이상을 저축해야 하며, 서울시가 동일하게 매월 15만 원을 추가 적립해줍니다. 이로 인해 최종적으로 3년간 수백만 원의 자산을 마련할 수 있으며, 추후 자립 활동에 실질적인 도움이 됩니다.
신청 대상은 서울시 거주 만 15세~39세의 중증장애 청년으로,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인 경우입니다.
🎯 서울시 자산 형성 지원 통장, 어떤 사람에게 가장 필요할까?
서울시 자산 형성 프로그램은 각 계층의 특성을 반영하여 맞춤형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.
경제적으로 자립하기 어려운 아동·청년·학부모·장애청년 등이 대상이며, 정부의 매칭 적립 방식 덕분에 작은 저축으로 큰 자산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이 핵심입니다. 또한, 서울시는 통장 참여자에게 금융 교육 이수 기회도 제공하여 자산 관리 역량도 함께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.
마무리 요약
서울시의 자산 형성 지원 프로그램은 단순한 복지 제도를 넘어, 시민 개개인의 자립과 미래 준비를 돕는 종합 재정 지원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각 통장의 대상, 금액, 혜택을 비교해보고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통장을 선택해 신청한다면, 몇 년 후엔 의미 있는 목돈과 더불어 자립의 가능성을 함께 얻게 될 것입니다.
서울시민이라면 지금 바로 본인의 상황에 맞는 통장을 확인하고 신청해보세요!
'매일 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디딤씨앗통장 가입 방법부터 조건까지 한눈에! (2025 최신 기준) (0) | 2025.03.29 |
---|---|
카이토(KAITO) 코인의 기술적 혁신과 시장 전망: 2025년 미래가치 분석 (0) | 2025.03.07 |
2025 연말정산 소득공제 많이 받는 방법! 신용카드, 부양가족 공제 활용법 (0) | 2025.02.03 |
DeepSeek R1 모델이 Nvidia와 AI 하드웨어 시장에 미친 영향 (0) | 2025.01.29 |
미국 금리 인상 시 한국 주가시장에 미치는 영향 (2) | 2024.12.23 |
댓글